본문 바로가기
● 스터디

경매와 공매의 차이와 장단점 : 빅데이터에게 물어보다.

by 방구석제나 2025. 3. 20.

경매와 공매 기본적인 설명과 장단점.

몇가지 내가 알고있는 사실과 좀 다르게 쓰여진 부분이 있어, 부분부분 수정함.

 


1. 경매란?

경매는 법원이 진행하는 강제 매각 절차입니다. 주로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했을 때 채권자의 신청으로 법원이 부동산이나 동산을 경매에 부치게 됩니다.

✅ 장점

  •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매 가능: 감정가 대비 낮은 가격에 낙찰될 가능성이 있음.
  • 입찰 기회가 많음: 다양한 경매 물건이 꾸준히 시장에 나옴.
  • 법원이 절차를 진행하여 신뢰도 높음

❌ 단점

  • 권리 분석 필요: 근저당권, 유치권, 임차인의 권리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함.
  • 잔금 납부 기간 짧음: 낙찰 후 빠른 시일 내에 잔금을 지급해야 함.
  • 명도 문제 발생 가능: 점유자가 퇴거하지 않는 경우 강제 집행이 필요할 수 있음.

2. 공매란?

공매는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 국세청 등)이 체납자 등의 재산을 매각하는 절차입니다. 법원이 아닌 행정기관이 진행하는 것이 경매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 장점

  • 경매보다 경쟁이 적음: 상대적으로 입찰자가 적어 저렴한 가격에 낙찰될 가능성이 높음.
  • 잔금 납부 기간이 여유로움: 일부 공매는 분할 납부도 가능.
  • 명도 문제가 적음: (직원숙소로 사용하다가 나온 물건들 한정) 점유자가 없는 경우, 인도 과정이 수월함.
  • 전자입찰방식 : 물건지 관할 법원에 갈 것 없이, 온라인으로 가능.

❌ 단점

  • 권리 분석 필수: 등기부 등본 외에도 공매특별매각 조건 등을 확인해야 함.
  • 입찰 방법이 다양함: 온비드(공매 시스템)를 통한 전자입찰 방식이 익숙하지 않을 수 있음.
  • 정보 부족 가능성: 법원 경매에 비해 물건 정보가 제한적일 수 있음.
  • 임차인 정보 : 상대적으로 임차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 명도 문제 : 경매에서는 강제집행(6개월 소요)이 있지만, 공매의 명도는 전적으로 낙찰자의 몫으로 경매처럼 도움을 받기가 힘들다. (1년정도 소요)

3. 경매 vs. 공매 비교 정리

구분 경매 공매

진행 기관 법원 공공기관 (캠코, 국세청 등)
주된 목적 채권자의 채권 회수 국가 재정 확보, 체납 재산 매각
입찰 방식 법원 방문  온비드(온라인 공매 시스템)
명도 위험 강제집행(6개월)으로 법원으로 도움받기 수월함. 낙찰자가 전적으로 명도해야함.(길면1년소요)
가격 경쟁 다소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납부 조건 일시불 납부 일부 공매는 분할 납부 가능

 

두 가지 모두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철저한 사전 조사와 공부가 필수적입니다.

경매와 공매를 활용하면 일반적인 매매보다 저렴하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충분한 학습 후 도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